본문 바로가기
트렌드/모든생각

기업 가스라이팅: 조직을 지키기 위한 3단계 전략

by 키미캐비 2025. 4. 1.
728x90
반응형

 

팀 내 적대적 행동과 기업 가스라이팅: 조직을 지키기 위한 3단계 전략

조직 내에서 누구든 적대적 행동(adversarial behavior)을 경험할 수 있지만, 리더십 팀 내에서 이러한 행동이 발생하면 그 파장은 훨씬 심각합니다.

 

처음에는 특정 임원의 활동을 방해하거나 억제하려는 시도로 시작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개인적·직업적으로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조직 내 적대적 행동의 실체

우리는 은퇴했거나 커리어 전환 중인 S&P 500 기업의 C레벨 임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적대적 행동 사례들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1. 공개적 굴욕: 한 임원은 자신이 추진하던 본사 차원의 전략이 특정 사업 부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자, 해당 부문의 수장이 회의 자리에서 공개적으로 굴욕을 주는 방식으로 방해했다고 설명했습니다.
  2. 보이콧: 또 다른 임원은 주요 회의에서 제외되고, 의견이 무시되거나 묵살당하는 상황에 놓였습니다. 이는 명백한 소외이자 존재 자체를 부정하려는 시도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3. 사보타주: 한 임원은 부정확한 내용으로 윤리 신고를 당했습니다. 마치 공급업체에게 뇌물을 건넸다는 식의 무고였으며, 조사 과정에서 누군가가 해당 프로젝트에서 자신을 배제하고 신뢰를 무너뜨리려는 의도를 갖고 있었음을 인지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사례는 단순한 문제의 일부일 뿐이며, 이면에는 더 치명적인 ‘기업 가스라이팅(corporate gaslighting)’이 숨어 있을 수 있습니다.

 

기업 가스라이팅이란?

기업 가스라이팅은 리더나 조직 구성원이 특정 임원을 조직 전체, 또는 중요한 이해관계자들에게 불신하게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입니다. 전통적인 가스라이팅이 개인의 인식을 왜곡시키는 것이라면, 기업 가스라이팅은 부정적인 내러티브를 만들어 조직 전체가 피해자의 능력과 신뢰를 의심하게 만듭니다.

 

그 결과, 피해자는 명성과 리더십 자신감을 동시에 잃게 되며, 가해자는 자신의 행동을 축소하거나 왜곡하며, 때로는 피해자를 오히려 가해자인 것처럼 몰아가는 정치적 수단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문제는 이러한 현상이 점진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피해자 본인이 상황의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입니다.

 

 

조직 내 가스라이팅에 대응하는 3단계 전략

1. 진짜 문제에 집중하라

많은 임원들이 적대적 행동에 대응하는 데 급급한 나머지, 조직 내에서 자신에 대한 부정적 내러티브가 퍼지고 있다는 사실을 뒤늦게 인식합니다.

한 CIO는 다음과 같이 회고합니다.

 

“나는 적대적 행동에 너무 집착한 나머지, 조직 내에서 내 평판이 무너지고 있다는 걸 알아차리지 못했다. 지금 돌아보면, 갈등 대응이 아니라 내러티브 반전에 집중했어야 했다.”

 

문제의 실체를 인식하는 것이 가장 어렵습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져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이 행동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가?
  • 제3자에게 이 상황을 설명했을 때, 의도적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되는가?
  • 상대방은 과거에도 유사한 행동으로 문제를 일으킨 전력이 있는가?

이러한 “연기(smoke)”가 있다면, 실제 “불(fire)” 즉, 가스라이팅이 진행 중일 가능성이 큽니다.

 

 

2. 전략적으로 대응하고 지지 세력을 확보하라

충동적인 반응은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인터뷰에 응한 임원들 중 다수는 시기나 방법을 잘못 선택해 더 큰 정치적 손실을 입었다고 고백했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신중하고 전략적으로 대응해야 합니다.

  • 개별 대화: 신뢰할 수 있는 동료들과 1:1로 대화하며 현재 상황에 대한 인식과 조언을 구합니다.
  • 가상의 시나리오: 멘토에게 ‘만약 이런 상황이라면?’ 식의 가상 시나리오로 접근하여 전략적 조언을 받습니다.
  • 긍정적 내러티브 구축: 조직 내에서 자신을 긍정적으로 소개해줄 수 있는 동료의 지원을 받아 작은 성공 사례를 알리고, 자신의 평판을 회복해 나갑니다.

 

2025.04.03 - [인사총무 캐비넷/업무효율높이기] - 절대 대체되지 않는 사람의 조건: 린치핀(Linchpin)이란?

 

절대 대체되지 않는 사람의 조건: 린치핀(Linchpin)이란?

AI 시대, 절대 대체되지 않는 사람의 조건: 린치핀(Linchpin)이란?AI가 점점 더 많은 일을 대체해 나가고 있는 이 시대, 우리는 자주 이런 질문을 받습니다.“나는 대체 가능한 사람일까?”“회사에

kimmisa.com

 

 

3. 긍정적 내러티브로 반격하라

가장 효과적인 반격은 사실 기반의 긍정적 내러티브를 만드는 것입니다. 피해자가 된 임원은 단순한 방어가 아닌, 전략적인 “외교적 반박(diplomatic deflection)”을 통해 내러티브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C-suite 적합성에 대한 의심을 받았던 한 CTO는 다음과 같은 5단계 전략을 활용했습니다.

 

  1. 우려 인정: “C-suite의 압박은 상당하며, 누구든 우려할 수 있습니다.”
  2. 관점 전환: “저는 압박 관리보다는 구체적인 성과에 집중합니다.”
  3. 성과 강조: “우리 팀은 이미 수익 증가, 고객 만족도 향상 등 눈에 보이는 결과를 내고 있습니다.”
  4. 결과 중심 사고 강조: “고압 환경에서의 리더십은 결과에 집중하는 태도에서 나옵니다.”
  5. 기업에 대한 헌신 표현: “저는 기업의 성과 향상에 집중하고 있으며, 그 목표는 변함없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조직의 위아래, 동료 모두에게 설득력 있게 다가갈 수 있는 메시지로 기능합니다.

 

마무리: 침묵은 선택이 아니다

 

조직 내 적대적 행동과 기업 가스라이팅은 한 사람의 커리어뿐 아니라 조직 전체의 건강성에도 악영향을 끼칩니다. 이때 아무런 대응도 하지 않는다면, 문제는 더욱 심각해지고 개인의 회복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문제를 인식하고, 전략적으로 대응하며, 긍정적 내러티브를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리더는 스스로를 지키는 동시에, 팀과 조직의 건전한 문화를 위해서라도 이와 같은 위협에 단호하게 맞설 수 있어야 합니다.

 

 

https://hbr.org/

 

Harvard Business Review - Ideas and Advice for Leaders

Find new ideas and classic advice on strategy, innovation and leadership, for global leaders from the world's best business and management experts.

hbr.org

https://hbr.org/2025/03/when-another-senior-leader-is-threatening-your-reputation?ab=HP-hero-featured-1

 

When Another Senior Leader Is Threatening Your Reputation

Adversarial behaviors like intimidation, sabotage, and boycotts are not uncommon in the C-suite. Yet, beneath these visible threats lies a more insidious danger: corporate gaslighting . This subtle tactic undermines credibility and isolates business execut

hbr.org

 

위 사이트의 글을 재해석하여 작성된 내용입니다.

728x90
반응형